패션쇼 (Fashion Show) 19세기에서 20세기 전환기 무렵 오뜨꾸뛰르(고급 맞춤복)의 선구자인 찰스 워드가 의상을 선보이기 위해 주변 사람들에게 옷을 입혔던 것에서 시작했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패션쇼는 1911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것이 시초. 이 쇼는 공들여 만든 무대 배경과 소품들이 준비되었고, 약 세 시간 동안 250벌 정도의 의상이 5000여 명의 관객 앞에 3일에 걸쳐 선보였다. 또한 이 쇼는 필름으로 제작되어 지방 극장에서 상영되기도 했다. 즉 일회성의 쇼가 아닌 하나의 영화이자 공연이었던 셈. 우리나라에서는 1956년 유학에서 돌아온 디자이너 노라노가 반도호텔에서 개최한 쇼가 처음이다. 당시에는 전문 모델이 없었던 탓에 영화배우나 무용수들이 무대 위에 섰다. 런웨이 (Runway) 활주로나 통로를 뜻함. 패션쇼에서 모델이 옷을 갈아입고 캣워크(모델이 패션쇼 때 걷는 모습)에서 의상을 선보이는 것을 뜻함. 캣워크 (Cat Walk) 패션쇼를 할 때 모델들이 걷는 모습을 소리도 안 나게 사뿐사뿐 걷는 고양이의 모습에 비유한 것이다. 모델이 패션쇼에 참가하여 그렇게 무대를 걷는 것을 뜻함. 오뜨꾸뛰르 (Haute Couture) 프랑스어로 '맞춤 의상점'을 뜻한다.특히 프랑스에서 일류 디자이너의 고급 주문 의상을 의미한다. 폴 포와레, 가브리엘 샤넬 등이 활약한 1910년대부터 50년까지는 귀족과 상류층을 고객으로 하여 번창했으나 현재는 프레타포르테(기성복 패션쇼)에 밀리는 추세. 프레타포르테 (Pret-a-Porter) '기성품'을 뜻하는 프랑스어로, 고급 기성복을 뜻한다. 제2차 세계대전 후 파리에서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오뜨꾸뛰르 수준의 기성복을 원하는 수요층이 늘면서 생겨난 말로 현재 대부분의 디자이너들이 프레타포르테에 치중하고 있다. 컬렉션 (Collection) 오뜨꾸뛰르나 프레타포르테에 참여하는 디자이너나 브랜드가 시즌 끝에 발표하는 작품을 말한다. 가장 역사가 오래된 파리 컬렉션은 아직도 전 세계 유행을 좌우할 만큼 영량력이 크다. 백스테이지 (Backstage) 쇼 무대 뒤. 이곳에서 모델들이 옷을 갈아입고 헤어&메이크업을 한다. S/S (Spring&Summer) 봄 · 여름 컬렉션 F/W (Fall&Winter) 가을 · 겨울 컬렉션. A/W(Autumn&Winter)라고도 쓰임. 레디투웨어 (Ready-To-Wear) 기성복의 영어식 표현. 프레타포르테와 동의어. 프론트 로우 (Front Row) 주요 메거진의 편집장이나 셀러브리티들이 앉을 수 있는 맨 앞 좌석을 뜻함. 모델 (Model) 창작하는 작품이라는 뜻도 있지만, 패션쇼에서는 디자이너가 발표한 의상을 입고 선보이는 사람을 뜻함. 프랑스어로는 마느깽이라고 한다. |
-디매펌- |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마니 라인 -디매케인님 글- (0) | 2007.06.25 |
---|---|
폴스미스 라인 -디매케인님글- (0) | 2007.06.25 |
휴고보스 라인 -디매케인님글- (0) | 2007.06.25 |
돌체앤가바나라인 -디매케인님글- (0) | 2007.06.25 |
까발리 라인 =디매케인님글- (0) | 2007.06.25 |